‘우회전 통행법’ 정답률은 0.3%
‘우회전 통행법’ 정답률은 0.3%
  • 심재호
  • 승인 2024.02.06 17:20
  • icon 조회수 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연구원, 수도권 시민 600명 대상 인식조사
변경된 우회전 통행방법 통일 안 돼 개선안 절실

지난해 7월 이후 적용된 횡단보도 우회전에 대한 일시 정지 의무가 강화돼 시간이 많이 흘렀음에도 이를 정확히 인지하는 운전자는 400명 중 1명에 불과하다는 경기도 산하 정책연구기관의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이를 둘러싼 대법원 판례와 경찰 단속지침간 차이도 있어 이에 따른 운전자들의 스트레스가 늘어나는 등 시민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최근 경기연구원(이하 연구원)이 수도권 시민 600명(운전자 400, 보행자 200명,2023년 12월21일 조사)을 대상으로 우회전 통행방법 관련 인식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연구원은 6일 이 조사를 토대로 한 ‘우회전, 돌아야 되나 말아야 되나?’ 보고서를 발간해 관련 내용을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운전자 75.3%는 우회전 일시정지 중 뒤 차량에게 보복성(경적, 헤드라이트 위협) 행동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자 78.3%는 일시 정지 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앞 차량의 일시 정지로 답답함을, 운전자의 65.3%는 우회전 중 갑자기 나타난 보행자로 인해 당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회전 통행 변경으로 전체 운전자 중 58.8%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특히 출퇴근 운전자 중 스트레스를 받는 비중은 67.0%로 높아졌다.

운전자 67.5%는 법적으로 일시 정지해야 하나, 보행자가 없어 일시 정지를 위반하고 우회전한 경험을 갖고 있었다.

운전자들이 우회전 일시 정지를 지키지 않는 이유로는 ‘빨리 가고 싶어서’란 응답 비중(30.6%) 보다 ‘정확한 통행 방법을 몰라서’란 응답 비중이 32.4%로 더 높게 나타났다. 

변경된 우회전 통행 방법에 대해 운전자 중 40.3%는 ‘알고 있다’고 응답해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 6.8%보다 높아 운전자 스스로는 우회전 통행법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설문조사에서 경찰청 홍보물을 기준으로 법적으로 올바른 우회전 통행방법에 대한 테스트를 시행한 결과, 우회전 방법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 운전자는 400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운전자 대부분은 서로 잘못된 통행방법으로 우회전을 하다 보니 운전자 간 다툼 등 사회적 혼란만 발생하고 제대로 된 제도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알게 한다.

실제 운전자들은 우회전 도입과정의 문제의 1순위로 35.8%가 잦은 법령 개정에 따른 운전자 혼란, 차순위로는 불필요한 교통체증 유발(21.3%)을 꼽았다. 

개선방안으로 우회전 전용 신호등 설치(37.0%), 홍보 및 교육강화(25.5%), 대형차량 사각지대 방지장치 부착(15.8%) 순으로 응답해 운전자들은 무엇보다 우회전 전용 신호등 설치를 희망하고 있다.

연구원도 우회전 사고예방을 위한 대안으로 고비용의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보다 우회전 전용 신호등 설치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또한 빠른 속도의 우회전 차량으로 보행자를 위협하는 교통섬 삭제와 교차로 회전반경 축소, 가각부 횡단보도 이설 등 교차로 기하구조 개선안을 제시했다. 

보행횡단 중 교통사고 사망비율이 승용차 대비 약 2.2배 높은 대형차량에 대해서는 사각지대 방지 장치 의무화 추진도 제시했다.

이와함께 보행자 시인성 강화를 위해 횡단보도 어린이 대기공간인 ‘(가칭)세이티브 아일랜드’ 설치와 운전석을 현행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방안까지 제시되고 있다.

박경철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우리 사회는 누구도 잘 알지도 못하는 일시 정지에 집착하고 있다”며 “운전자들이 암기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안전한 우회전을 하도록 신호와 교차로 기하구조 등이 개선되어야 하며, 일시 정지가 아닌 운전자 스스로 우회전 시 무조건 서행하는 교통문화를 정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원/심재호 기자 sjh@hyundaiilbo.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