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2017년 14%를 넘어 고령화 사회로 들어선데 이어 2025년엔 20%를 초과하여 초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 사회안전망 구축이 시급하다.
이 같은 노인 인구의 증가는 국가적으로는 노인복지와 관련한 사회적 비용의 증대라는 문제가 제기되고, 개인적으로는 고통의 증대라는 문제를 야기한다.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지금 가장 나를 힘들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하면 대표적인 것이 ‘돈 없고, 아프고, 일 없고, 외롭고’로 요약되는 노인의 4고’(苦)이다.
특히 퇴직 시기인 60세 전후에는 노인 빈곤율이 높지 않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퇴직 즈음 60세부터 66세까지 약 6여 년 간 무슨 일이 생기는 것일까.
그동안 자녀들의 결혼자금과 자신의 노후자금을 맞바꾸어 온 누적된 결과가 바로 이 시기에 빈곤으로 그 방향전환이 시작되는 것이다.
그런 만큼, 준비 없는 장수는 재앙에 가깝다는 이유다.
이러한 방향 전환을 막고 균형 잡힌 인생 후반전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4가지 영역에 대한 준비가 중요하다.
재무, 건강, 일 그리고 여가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인생 후반에 반드시 닥치게 되어 있는 위험의 본질도 알아야 한다.
첫째, 우린 생각보다 오래 산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놀랍게도 85세 전후 혹은 오래 살면 90세까지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70년 평균수명은 62.3세(남자 58.7세, 여자 65.8세)였다.
2017년 평균수명은 82.7세이다(남자 79.7세, 여자 85.7세) 47년 동안 20.4세가 늘어났다. 평균 2~3년에 한 살 꼴로 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외국의 어느 미래학자는 ‘2030년의 세계’라는 보고서에서 유럽인의 수명이 130세가 될 것이라고 했고 우리나라도 20년 내 평균수명 120~130세 시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둘째, 저금리, 저성장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금리는 1979년에서 1980년, 고성장의 시대에는 1년 정기예금 이자율이 25%였다.
1백만 원이 있으면 단리로 4년이 지난 후에는 원금의 2배가 되는 것이다.
그러던 것이 18% → 12% → 7%로 계속 내려가더니 지금은 1.5% 또는 1% 수준이다. 많은 은퇴자는 자신이 갖고 있는 자산을 통해 한 달에 100만원이라도 노후자금을 만들기를 원한다. 금리가 10%였을 때는 1억2천 만 원이 필요하지만, 금리가 1.5%로 보다면 8억 원이 필요하다.혹자는 금리가 다시 올라가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기대하지만 현실에서 그럴 일은 거의 없다.
고성장시대에는 고금리가 답이지만 저성장 시대에는 역시 저금리가 답이다.
셋째, 자녀 위험이다.
자녀를 사랑하는 만큼 모든 것을 해주고 싶어 자녀의 결혼자금으로 무리하게 대출까지 사용하는 부모들이 있다.
현역일 때는 대출금을 지렛대(레버리지)로 할 수 있다지만 이는 은퇴 후 대출은 개인파산의 지름길에 가까워 매우 위험하다.
많은 부모가 자녀를 위해서 유산으로 현금 얼마를 남겨 주든지 혹은 집이라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결코 바람직한 생각은 아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동서양을 막론하고 부모가 자신에게 현금이나 집을 준다고 알고 있는 자녀들의 70%는 최선을 다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다.
진정한 유산은 집이나 현금이 아니라 은퇴 후에도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여가를 즐기며 행복하게 사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은퇴는 인생에 있어서 황혼기가 아니며 인생의 전환기이다.
은퇴 후의 삶도 나의 삶이기 때문이며 여기에는 경력도 능력도 나이도 중요치 않다.
위험은 아무도 모르게 어두운 모퉁이에 숨어 있다가 어느 순간 힐끔거리며 자태를 드러낸다. 가능한 한 은퇴 후 노후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해보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현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