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일보칼럼] 능허대(凌虛臺)축제, 성공하려면
[현대일보칼럼] 능허대(凌虛臺)축제, 성공하려면
  • 강훈천
  • 승인 2015.05.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사회는 연중 봄과 가을이면 지역마다 축제들로 한껏 달아오른다.

하긴 사람이 먹는 것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요, 삶의 기쁨도 누릴 수 있는 ‘신바람 나는 세상’이 좋은 세상임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굳이 축제에 많은 것을 탓할 건 없다.

더구나 그만큼 우리나라의 생활여건이 나아진 것은 사실이기에 그렇다. 따라서 축제는 하되 지역의 정체성과 긴밀하게 연결되고, 나아가 지역민들의 통합과 문화권리 향상에 기여하는 축제로 열릴 때 그 효율성이 배가될 것이다.

인천의 대표축제인 연수구 ‘능허대 축제’가 올해 다시 부활하기로 했다. 6년 전 중단 과정에서 진통을 겪기도 했던 축제가 각계의 여론 수렴 결과 전통을 잇자는 구민 상당수의 의견이 힘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부평구의 ‘풍물축제’도 규모와 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됐지만 그나마 축소 행사로 명맥을 잇고 있다.

문제는 일부러 축제마당을 벌여 흥청망청할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심각한 가계부와 국가부채 문제를 애써 외면할 정도로 한가한 상황은 아닌 듯 싶기 때문이다.

더구나 일부 지역축제가 부적절한 운영으로 특정기업이나 특정인이 많은 혜택을 누리고, 평가가 부풀려진 점 등 그 폐해가 자못 컸다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변화와 발전 또한 이와 같은 ‘축제문화’의 흐름과 변천을 통해 얼핏 훌터 볼지라도 ‘글로벌’한 사회, ‘혁신적’인 사회,  ‘흥을 돋는 사회’ 그리고 보다 ‘전문화’된 우리 사회의 한 일면이 엿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축제는 더 이상 서구 먼 나라의 이상화된 이야기가 아닌 이미 일상의 일부가 되어버린 것이다. 

한마디로‘축제 문화’가 이제는 ‘생산적 문화 콘텐츠’로서 그 의미의 사회적 재생산 과정을 통해 점차적으로 뿌리를 내려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여 지역의 대표축제가 성공하려면 도시의 자랑스런 문화적 아이덴티티가 되어야 하는 이유다. 

그래서 성공한 축제가 되려면 일부 기획자나 특정인의 의지로 축제의 방향을 좌지우지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능허대축제야말로 2004년부터 지역주민들의 높은 호응 속에 성공적으로 개최되면서 인천시민들이 함께 참여해 즐길 수 있는 흥겨운 역사·문화축제로 거듭났다.

하지만 전임 자치단체장의 무용론리로 2009년 6회를 끝으로 중단됐다. 분명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성이 연결된 대표축제가 끊긴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다행히 지난 연말 실질적 주체와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수구 축제위원회’가 출범, 올해 다시 개최한다는 계획이다. 

때늦은 감은 있지만 축제를 기획하는 권위 있는 기구가 대안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갖는다. 생활사 편찬과 함께 지역의 특성을 담은 축제를 개발, 연수구만의 정체성을 확보해 구만의 특화된 이미지를 찾겠다는 프로젝트다. 축제위원회의 야심찬 설계가 관심을 끈다.

능허대축제를 놓고 일부에선 어느 대학의 축제 같다며 명칭을 바꾸자는 주장도 제기됐다. 하지만 ‘능허대(凌虛臺)’는 삼국 백제시대에 중국 동진과의 교류에서 양국 사신이 나루터로 이용했던 역사성을 부각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축제 명칭을 바꾸는 문제는 심사숙고할 일이다. 

여기에 지역과 세대는 물론 전통·현대·미래를 아우르는 스토리텔링이 있는 문화예술축제로 승화시킬 때 화합의 장이 될 것이다

성공한 축제는 지방자치제도의 실시와 더불어 정치적으로는 지역의 문화자치 실현을 가능케 하고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을 가능케 한다.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유도해낼 수 있는 순기능도 있다. 연수구 축제위원회의 야심찬 축제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